수배전설비에서 VS, AS, CT. PT
VS (voltmeter change-over switch )는 전압계 절환 스위치로 상간전압(3상의 전압을 각각의 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전압계에 나타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3상의 경우 전환스위치가 3단으로 되어있고 R-S상, R-T상, S-T상간의 전압을 읽을 수 있습니다.
AS (Ammeter Change-over Switch) 는 전류계 절환 스위치로 각상의 전류를 측정하기 위하여(각상의 전류계에 나타난 전류) 사용됩니다.
3상의 경우 전환스위치가 3단으로 되어있고 R,,S,,T상의 전류를 읽을 수 있습니다.
단 전류계의 전원은 CT 2차측 전류이며 계기의 눈금은 CT 1차측 전류입니다.
예로 배율 100/5의 CT 전류계가 눈금 100[A]를 가르킨다면, 전류계기엔 5[A]가 흐르고 지시는 100[A] 입니다. 즉, 계기의 지시전류(1차전류) = CT 배율 X CT 2차 전류
CT (Current Transformer) 는 계기용 변류기입니다.
어떤 전류값을 이에 비례하는 전류값으로 변류하는 계기용 변류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통의 계기, 보호계전기 등의 정격 입력전류는 5[A]의 것이 많으나 근래에 개발되어 그 보급이 확산되어 있는 디지털용 계전기 등의 정격입력 전류는 1[A]의 것으로 제작되는 등...1차측의 대전류를 직접 계측할 수 없으므로 전류를 일정비율로 낮춰 계기의 계측이 가능하도록 하는 변성기입니다.
CT는 PT 와 마찬가지로 고전압 대전류를 직접 계기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없기에...굉장히 위험하죠..작은 전류로 변환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배전반의 전류계, 전력계, 전류계전기 트립코일등의 계기 전원공급용으로 사용되고요. 중요한것은 CT는 1,2차 절연 파괴시 폭발의 위험이 있어 2차측을 꼭 접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CT에 연결된 작업을 할때는...
예를들어 KW 계를 보수하는 것도....반드시 CT 2차측을 단락(모두 묶어놓는것)시키고 하셔야 합니다.
2차측이 개방되면 철심에 기화가 포화되어 2차측 권선에 고압이 유기됩니다. 고압이 유기되면 절연이 파괴 되겠죠. 절대 CT 2차는 개방시켜서는 안됩니다.
CT비 구하는 방법
변압기 용량이 3상 22,900, 용량 3,750[KVA] 일 경우
1차측 정격전류 = 3,750 X 1,000 / 1.732 X 22,900 X 1.25배 = 118.18[A]이므로 120:5 배율 CT 설치
PT (Potential Transformer) 는 계기용 변압기로 고압회로의 전압을 비례해서 낮은 전압으로 변압해 줍니다.
회로에 병렬로 접속하여 사용하고, 수/변전실 큐비클함에 보시면 전압계와 전류계, 역률계..표시등이 있습니다. 또한 부족전압 계전기(UVR)와 과전압 트립 코일(OCR)등의 계기 MOF (Metering Out Fit))는 계기용 변성기 또는 계기용 변압 변류기로 한전전기의 계량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계기.
한전공급약관 MOF, CT 배율 선정은 180[KVA]가 최소용량으로 배율 1:1 기준(5/5)이며,
360 이하 10/5, . 540 이하 15/5. 720 이하 20/5, 1,080 이하 25/5 등등,...
기준값 180 상수의 의미
1차측이 5[A]일때 수전전력 P= 1.732 X 22,900 X 5 X 0.9(역률) = 178.5[kw]
MOF 는 PT 와 CT가 1조로 같이 있는것 입니다. 그래서 도면 보면 PCT 라고 적혀있기도 합니다.
보시면 MOF 에는 적산전력량계가 항상 같이 붙어 있습니다.
즉, 22,900V 의 전기를 낮추어서 계량 측정하기 위해 MOF를 사용하는 것이죠.전원(110V)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