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연저항 측정방법은
절연저항계의 리더선인 E단자와 L단자의 연결법이 중요합니다.
E단자는 기준 공통접지 부스바 또는 기준 공통접지가 없는곳은 주변의 수도관이나 임시접지단자로 활용이 가능한 금속체에 접지를 취하고, 또한 차단기,개폐기 1차측의 중성점 접지가 된 곳(한전변압기의 제2종접지선)을 검전기로 찿아 거기에 접지를 취해도 됩니다.
검전기가 없는 경우는 절연저항계의 종류에 따라 접지측이 아닌 경우는 경보음을 내는것도 있습니다. 물론 L단자는 차단기 2차측 즉 부하측에 연결하여 테스터 버튼을 눌려주고 읽으시면 됩니다.
이때 측정대상 차단기는 반드시 개방되어 있어야 하고요, 측정 대상기기의 중선선과(3상 차단기 뿐인 중성선 공통회로 분전반일때) 기기 방전용 접지선(분전반용 접지는 제외)도 분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안전에 각별한 주의를 요합니다. 따라서 측정이 완료된후에는 반드시 모든 회로를 원상복구 시켜야 안전사고를 예방할수 있습니다. 특히 공통 중선선이나 방전용 접지선이 이탈된 상태로 전원이 투입될경우 매우 중대한 사고가 발생될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1,000V이상의 메가로 측정한 경우에는 반드시 방전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절연저항 기준값(정상치)은
400v 미만
대지전압150v이하 - 0.1메가오옴
150v넘고 300v미만 - 0.2메가오옴
300v넘고 400v미만 - 0.3메가오옴
400v이상은
0.4메가오옴 이상, 고압은 3메가오옴 이상이어야 정상입니다
접지저항 측정방법
1종 10오옴이하 (피뢰기 맟 고압기기에 사용)
2종 5오옴이하 (변압기 2차와 중성선 접지에 사용)
3종 100오옴이하 ( 300V미만의 저압 전기기구 외함 접지에 사용)
특3종 10오옴이하 ( 300V 이상의 저압 전기기구 외함 접지에 사용)
측정은 변전실 접지 단자대에서 개방후 다기능 측정기로 하고
외부 분전반은 다기능 측정기로 3선식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참고로 발전기의 N상은 3종접지이다. 따라서 외함과 동시에 접지하면된다(저압이므로)이다
접지선의 굵기
In X 0.052 = 해당변압기의 정격전류(또는 발전기) X 0.052
후크메타로 누설전류 측정
단상2선이면 2선 통과, 3상3선이면 3선통과, 3상4선이면 4선을 통과 시켜야 한다. (단 누설전류계로) 값은 0에 가까울수록 좋다.
선로또는 부하에서 누전이 발생시 활선상태에서 누설전류계로 원인을 찿을수 있다.
누전이 되면 변압기 2종접지선으로 유입되므로 여기에 누설전류 측정결과 누설전류량이 증가하였다면 배전반에서 분기선로의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해당분전반을 찿아
분전반 메인측에서 측정결과 누설전류 없으면 배전반과 분전반사이 간선에서 발생한것이고 아니면 분전반 선로 또는 부하측에서 발생한것이다.
부하에서 발생시는분전반 메인측에 누설전류계를 걸어두고 분기차단기를 하나씩 OFF 시키면 누전되는 차단기가 OFF될때 누설전류계의 눈금에 누설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간단하게 누전되는 회로를 찿을수 있다. 다만 간선이 굵은것은 대형 누설전류계 사용한다.
유도전동기의 와이-델타 결선 확인하는 방법
·2가닥씩 지그재그로 묶여있으면 델타결선이다.(220V) 선이 흐트려졌을때 같은선을 찿으려면 하나씩 대어보고 2선이 도통되면 같은 배선임.
화재수신반 감지기 테스트
정상: DC +3v∼4v, 불량: 20v 또는 0.5v
케이블 접속(터미널 너트 연결부) 불량시 접속이 불량시 접속면의 접촉저항 R이 증가하여 주울열이(Q= I 2승 X RT) 발생하고 온도가 점점 높아지면서 접촉면이 탄화되어 접촉저항은 더욱증가하고 결국에는 화재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차단기등의 연결부 단자는 항상 단단하게 조이고 분전함등 스위치 조작이 잦은 부분과 전선의 배관등에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항상 청결을 유지 하셔야 합니다.